Github
Git 이라는 툴은 소스코드를 업데이트 날짜에 따라 서로 엉키지 않게 저장해주는 기능을 한다.
GitHub는 그 저장소이다. 단순히 개념을 보면 이렇다.
그리고 추가적인 사항은 Github는 오픈소스 공간이다. 서로서로 코드를 공개하여 볼 수 있다. 물론 개인적인 저장용도로도
사용 할 수 있으나, 매달 돈을 내야한다.
사용 방법은 조금 어려운 감이 있지만, 사용하다보면 익숙해 질 것 같다.
GitHub 주소 https://www.github.com/
우선 Git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몇가지 단계가 있다.
1. 우선 위의 주소에서 새로운 계정을 하나 생성한다.
우선 리눅스 환경에서 Git을 사용하려면 Git을 설치해야 한다.
페도라의 경우 단순히 터미널에 yum install git 을 입력하면 되고,
우분투 같은 경우 apt-get install git을 입력하면 간편하게 설치를 할 수 있다.
2. Git이 설치가 됐다면, 계정을 설정할 차례이다.
터미널 창에 위와같이 git config~~ 명령을 입력하고 your Name Here 에 가입할때 썼던 이름을 입력해준다.
가입할 때 이름이 NNN이었다면 터미널에 git config --global user.name "NNN" 으로 입력하면 된다.
이름을 등록하고 난 뒤에는 이메일을 등록하자.
이 명령도 이름을 등록할 때와 똑같이 가입할 때 썼던 이메일을 입력하면된다.
그리고 매번 git을 쓸 때마다 로그인하는게 귀찮으니 저장해두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터미널에 치면 된다.
이제 Git을 사용할 세팅은 모두 끝이 났다. 이제 Git을 이용해 보자.
3. 우선 홈페이지로 가서 저장소를 만든다.
홈페이지로 가서 로그인을 하면 우측 하단에 아래와 같은 버튼이 있다.
여기서 New repository를 누르면 간단한 정보( 저장소 이름 같은 것 ) 을 입력하고 나면 새로운 저장소가 만들어진다.
4. 그럼 이제 파일을 올려보자.
우선 리눅스에서 아무 git 전용으로 쓰고 싶은 디렉토리를 만든다.
그런 다음 위의 명령을 터미널에 입력하면 git 설정이 된다.
그런 뒤 아무 파일이나 하나 만든다. 간단하게 helloworld.c파일을 만들어보자.
helloworld.c를 만들었으면 위의 명령을 입력해보자.
git add README는 README파일을 git에 추가하라는 명령이므로, 우리는 git add helloworld.c를 입력해야한다.
그런 뒤에 git commit -m 'first commit'를 입력하자. 그럼 first commit라는 메시지와 함께 올라간다.
자 이제 끝이 보인다.
git에 내 소스코드를 올렸으니 그것을 github에 저장하자.
우선 저장하기전에 GitHub로 들어가 만들어 놓은 저장소에 가보자.
저장소에 가보면 우측에 위와 같은 메뉴가 보일 것이다. 그 아래에 HTTPS clone URL을 복사해두자.
이 주소가 이전에 만든 저장소의 주소가 된다.
이제 다시 터미널로 돌아와서,
위의 명령을 입력하는데 뒤의 https~ 이 부분은 복사해둔 url을 입력하면 된다.
이 과정은 origin 이라는 이름의 저장소 주소를 가진 변수를 만든다. origin외에 다른 이름을 사용하고 싶으면 사용해도 아
무 상관없다.
그리고 아래의 git push명령을 입력하면 GitHub에 저장 완료!
git을 사용해 저장하는 과정이 전부 터미널에서 이루어져서 어려워 보이지만 자주 사용하다보면 손에 익을 것이다.
여기 까지 잘 따라했다면, GitHub 홈페이지에 가면 helloworld.c 코드가 이전에 만들었던 저장소에 올라 가 있을 것이다.
Git을 사용하면 번거롭게 코드를 관리 할 필요없이 간편하게 관리 할 수 있고, 코드를 저장하기 위해 따로 USB가 필요없다.
다만 인터넷이 되어야 한다는 점은 있지만 그래도 간편하다.
무엇보다 전 세계 유명한 프로그래머들의 코드를 볼 수 있다는 점이 참 좋지 않나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