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20

VIM / EMACS 리눅스에서 대표적인 에디터로 VIM 과 EMACS가 있다. 둘 다 아주 좋고 사용하는 사람도 많다. 본인도 아직 EMACS는 사용해 보지 않았다. Vim의 경우 기존에 리눅스에서는 Vi라는 Visual Editor라는 에디터가 있었는데 VIM은 VI Improve로 VI를 개선한 것이다. 단순 시커먼 창에서 글자 몇개 치는 에디터 정도로만 생각 할 수도 있는데 Vim의 기능은 정말 엄청 많다. 예로 Vim이 여러 문서를 한번에 수정 할 수 있게 창을 분할 할 수 있다. 이 기능을 얼마전에 알았는데 굉장히 유용하게 쓰인다. 코드를 분석하는데 한 터미널에서 같은 파일을 두 창으로 열어 각각 다른 부분을 보면서 코드를 확인 할 수 있다. 이건 빙산의 일각 수준의 기능일 뿐이다. Vim에는 확장기능을 더 달아서.. 2013. 11. 23.
Grub의 부팅 순서 바꾸기. 앞선 글에서 각 디렉토리의 의미를 알아 보았다. 이번에는 리눅스를 깔면 깔리는 부트로더인 grub에서 부팅순서를 바꿔보자. 보통 한 하드에 파티션을 나누어 멀티부팅의 하는 경우. 윈도우를 설치하고 나중에 리눅스를 설치하면 아무 입력 없을 시에 리눅스가 먼저 부팅된다. 윈도우를 위주로 사용하는 사람의 경우 굉장히 불편할 것이다. 이걸 고쳐보자. 우선 앞 포스터에서 본것에 따라 부팅에 관련된 파일들은 /boot 디렉토리에 들어 있다. 그럼 우선 루트 디렉토리로 이동해 boot 디렉토리로 가보자. 우선 위의 캡쳐는 root 디렉토리에서 봤을 때의 모습니다. 여기서 boot디렉토리로 가보자. 그럼 이런 화면이 나온다. boot로 오면 위의 캡쳐와 같이 grub라는 디렉토리가 보인다. 우리가 수정해야 하는 것은 .. 2013. 9. 7.
리눅스의 디렉토리 구조 리눅스를 기본적으로 설치하면 여러 디렉토리들이 생성된다. 특히나 리눅스를 설치할 때 보면 파티션을 생성할때 home , boot, var이니 여러개 있는 것을 한번쯤을 봤을 것이다. 하지만 이게 무슨 용도인지는 정확이 모르는 경우가 많다. 보통 초보자의 경우 root파티션 하나와 swap영역만 만들고 하면된다는데 왜지? 라는 생각을 했을것이다. 이번에는 그 의미들을 알아보자. 리눅스의 디렉토리는 구성은 다음과 같고 그 구성에 따른 역할을 설명하겠다. / : root 디렉토리다. 리눅스 시스템에서 최상위 디렉토리를 의미한다. 모든 디렉토리는 root로 부터 트리형태로 나간다. /bin : 기본 실행 파일들, 즉 사용자 명령어들이 들어 있다. /boot : 시스템 부팅에 필요한 파일들이 들어있다. /dev .. 2013. 9. 7.
신박한 명령어 리눅스 민트에는 파일 만드는 명령어가 몇 가지 존재한다. 그중 가장 흔히 쓰이는건 아마 cat 일 것이다. 나도 cat에 파일 생성 기능이 있는 건 리눅스 마스터 2급 시험을 치면서 알게 되었다. 그외 다른 명령으로는 touch라는 명령도 있다. 여기서 살펴 볼 건 "cat" 이다. 흔히 cat은 파일 내용을 바로 볼 때 사용하곤 한다. 좌측 이미지와 같이 cat 파일명 명령을 사용하면 터미널 창에서 바로 파일을 읽어 볼 수 있다. 여기서 추가적으로 more ,less, grep같은 명 령을 추가하거나 해서 편히 볼 수도 있다. cat의 기본 명령중에 n옵션을 넣어보면, 각 줄마다 줄 번호가 나온다. 코드를 살펴볼 때 굉장히 편한 기능이다. 일반적으로는 위와 같은 기능으로 사용하는 cat 으로 파일을 만.. 2013. 8.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