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62 구글의 안드로이드OS 휴대폰에서도 OS가 경쟁하는 시대가 왔다. 몇 년전까지만 하더라도 2G에 문자가 대세이던 시대에서 어느새 휴대폰으로 인터넷을 하고 동영상을 보는 시대가 왔다. 흔히 휴대폰 세대를 나눌때 1G, 2G, 3G와 같이 Generation의 약자 G를 쓴다. 1G 시대의 휴대폰은 아날로그 방식으로 음성 전달 위주에서 2G로 넘어오면서 디지털로 바뀌고 음성 + text로 바뀐다.이때도 굉장한 발전이었다. 그 후 대망의 3G 가 온다. 아이폰이 들어오면서 한창 스마트폰 열풍이 불었다. 3G는 2G + 비디오로 이때부터 우리가 인터넷이라고 생각하 는 인터넷이 가능하다. 2G에도 인터넷이 가능했으나 기능이 굉장히 제한적인 인터넷이었다. 여하튼 지금은 4G다. 요즘 광고에 많이 나오는 Long Term Evolution.. 2013. 9. 21. altibase sql 기본 명령 Table 생성 create table 테이블_명 ( column명 타입, . . .); ex ) create table S ( snum int, sname char(20) ); Table Data 삽입 insert into 테이블_명 values (col에 해당하는 값); ex) insert into s values (1,'NNN'); or insert into s (snum, sname) values (1, 'NNN'); Table 선택 select col명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 ex) select * from s; or select sname from s where snum=1; or select snum sname from s; Table에 Column 추가 alter table 테.. 2013. 9. 19. altibase를 깔았다. 리눅스를 한번 날려 먹고 우여곡절 끝에 깔기에 성공했다. 끝내 라이센스 키는 되지 않았지만 검색과 검색으로 라이센스 키를 하나 구 해서 했더니 구동이 됐다. 다행이다! 여기에 한 가지 팁을 적자면 altibase를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으면 .run 형식의 파일이다. 이 파일은 우분투에서는 실행이 안되는데, 파일 모드를 변경해서 실행 권한을 주면 정상적으로 실행이 된다. chmod a+x 파일명 이 명령을 하면 해당하는 파일에 모든 권한에 실행이 추가된다. 의미는 간단하다. a = all , + = 추가, x= execute 리눅스에서 파일 모드(권한)은 rwx rwx rwx 이렇게 3가지로 구성되어있고 차례로 파일 소유자(user), 그룹(group), 제3자(other)다. 예로 파일 소유자일 경우 쓰기.. 2013. 9. 19. Grub의 부팅 순서 바꾸기. 앞선 글에서 각 디렉토리의 의미를 알아 보았다. 이번에는 리눅스를 깔면 깔리는 부트로더인 grub에서 부팅순서를 바꿔보자. 보통 한 하드에 파티션을 나누어 멀티부팅의 하는 경우. 윈도우를 설치하고 나중에 리눅스를 설치하면 아무 입력 없을 시에 리눅스가 먼저 부팅된다. 윈도우를 위주로 사용하는 사람의 경우 굉장히 불편할 것이다. 이걸 고쳐보자. 우선 앞 포스터에서 본것에 따라 부팅에 관련된 파일들은 /boot 디렉토리에 들어 있다. 그럼 우선 루트 디렉토리로 이동해 boot 디렉토리로 가보자. 우선 위의 캡쳐는 root 디렉토리에서 봤을 때의 모습니다. 여기서 boot디렉토리로 가보자. 그럼 이런 화면이 나온다. boot로 오면 위의 캡쳐와 같이 grub라는 디렉토리가 보인다. 우리가 수정해야 하는 것은 .. 2013. 9. 7. 이전 1 ··· 3 4 5 6 7 8 9 ···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