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18 접근 범위, 존속 기간 접근범위와 존속기간이 있다. 대부분은 이 부분을 안배웠더라도, 이해하고 사용하고 있을 것이다. 접근범위란, 말그래도 접근 할 수 있는 범위를 말한다. 접근 범위를 말하기에 앞서, 전역,지역 변수에 대해 먼저 말하겠다. 전역변수는 함수밖에 선언된 변수다.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int a = 1; int main() { ~~내용생략 } 위와 같은 경우 a 는 전역 변수이다. 전역 변수는 모든 곳에서 접근 가능하고 다른 파일에서도 접근 가능하다. 다른 파일 에서 전역 변수에 접근 하기 위해서는 파일에 extern int a; 와 같이 선언 해주면 컴파일러가 전역변수로 인지한다. 지역변수는 함수안이나, 중괄호안에 선언된 변수들을 말한다. 이 변수는 같은 영역에서만 접근 가능하다. 쉽게 이해하자면 일반 적으로 .. 2012. 9. 14. Exception Handling 예외처리, 아주 중요하다. 프로그램을 만들었는데 비정상 종료가 된다면 어떤 기분인지 잘 알 것이다. 후에도 예외처리는 매우 중요하다. 예외 처리의 중요성을 다타낸 글이 또 하나 있다. 만약에, 당신이 구매자라면 기능이 다양한다 간혹 꺼지는 프로그램과, 기능은 단순하지만 절때 꺼지지 않는 프로그램이 있다면, 당신은 무엇을 구매 할 것인지 생각해보면, 예외처리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 수 있다. 개념 자체는 간단하다. 특정 상황에서 예외가 발생했다고 하면, 그 발생한 예외를 처리해주면된다. 그게 예외처리다. 예외처리에 사용되는 3가지 명령어를 먼저 살펴보자. throw : 예외를 던지는 명령을 수행한다. try : 던져진 예외의 범위를 가지고있다. catch : try 에서 던진 예외를 가지고 작업을 수행한다.. 2012. 9. 10. 오버라이딩 C++에는 오버로딩과 오버라이딩이 있다. 오버로딩의 경우 앞서 말했지만, 같은 이름을 가진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오버라이딩은 무엇일까. 오버라이딩이란, 부모클래스의 멤버함수를 자식클래스에서 재정의 하는 것이다. 오버라이딩을 알기위해서는 먼저, 순수 가상 함수에 대해 알아보자. 순수가상함수는, 일반적인 가상함수와 다르게 이 함수는 정의가 없다. 쉽게 말해 이 함수를 사용 할 수 없다. 순수가상함수를 쓰는 경우는, 자식클래스에서는 사용하지만, 부모클래스에서는 절대 쓸 일 없는 그런 함수일 때, 사용한다. 가상함수지만, 부모클래스에서는 호출이 안되는 함수. 어떻게 정의 하는지 살펴보자. 일반적으로 가상함수의 선언에 " = 0 " 을 붙여주면 된다. 예를 보자. virtual void draw().. 2012. 8. 30. 클래스 가상함수 클래스에는 가상함수(virtual) 이라는 개념이 있다. 어떤것인지 살펴보자. 우선 가상함수를 사용하는 방법 먼저 살펴보자. 특별한 것은 없고, 일반적인 부모클래스 멤버 함수 앞에. virtual void print(); 등과 같이 virtual 만 붙여주면 된다. 클래스 외부에서 함수 내용을 정의 할 때는 클래스 내부에 함수 원형에만 virtual 을 붙여주면 된다. 자, 이제 이 가상함수를 어떤 경우에 쓰는지 살펴보자. 한가지 예로 shape 클래스와, circle, rect 클래스 먼저 간단히 정의 먼저 보자. class shape { public : void draw() const; protected : int _x, _y; } class circle : public shape { public :.. 2012. 8. 30. 이전 1 2 3 4 5 다음